미국이 전 세계에 막대한 군수 물자를 제공한 이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연합국에 총 501억 달러 규모의 군수 물자를 지원했다. 현재 가치로는 최소한 6,590억 달러(약 750조 원)에 이르는 막대한 물자였는데, 지원 목록은 온갖 품목을 망라했다.



군용기와 전차 등 무기류가 절반 이상이었고, 원유와 원자재, 육류를 비롯한 식량과 의복까지 그야말로 군수품 일체가 미국과 동맹군으로 싸우는 연합국들에게 넘어갔다.



이러한 엄청난 양의 물자가 지원될 수 있었던 것은 1941년 3월 11일에 발효된 미국의 '무기대여법(Lend and Lease Act)'에 의해서였다.


이 법이 발효되기까지는 미국내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유럽의 전쟁에 끼어들 필요가 없다며 전통적인 고립주의로 돌아가자는 반대 의견으로 하원에서는 단 한 표 차이로 법이 통과됐을 정도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반대하는 의회에 이런 논리를 펼쳤다.



"불난 옆집에서 소방 호스를 빌려달라고 하는데 우물쭈물하면 우리 집에 불이 옮겨붙을 수밖에 없다. 소방 호스를 빌려줘 일단 불을 끈 다음에 돌려받는 게 낫다."


이처럼 우여곡절 끝에 무기대여법이 의회를 통과한 이후 미국은 '연합국의 무기고'로 변해갔다. 그러던 중 일본에 진주만 공습을 당한 미국은 중립에서 벗어나 직접 전쟁에 참전하면서 무기대여법의 지원 대상국도 크게 넓혔다.


민주주의 국가만을 지원 대상으로 삼았던 법을 개정해 '자유를 위해 싸우는 나라'에게 미국제 무기를 제공했고, 사회주의 국가 소련과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왕정국가도 이렇게 지원 대상에 들어왔다.


무기대여법과 함께 전시 생산체제로 들어간 미국은 유례없는 생산능력을 뽐내며 과자 찍어내듯 각종 무기를 토해냈다.



전쟁 중 제작한 군용기만 32만 4,750대, 항공모함 141척, 구축함 349척을 뽑았다. 또 연합국이 쓴 석유 70억 배럴 중 60억 배럴도 미국 내 유전에서 나왔다. 


모든 산업시설을 군수산업으로 전환시킨 미국이 쏟아내는 전략 물자는 연합국을 입히고 먹이고 무장시켰다.



무기대여법의 최대 혜택 국가는 영국으로 총 314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받았다. 소련에게도 113억 달러 상당의 군수품과 원자재가 들어갔고, 프랑스는 32억 달러, 중국은 16억 달러 규모의 물자를 제공받았다.


결과적으로 무기대여법은 연합국의 승리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종전 이후 무기대여법으로 인한 지원 금액을 제대로 갚은 나라는 거의 없었다.



오직 한 나라, 영국만이 무기대여법으로 인한 대미 채무를 모두 갚았다.


전쟁이 끝난 직후 미국이 영국에 요구한 상환 금액은 총 52억 달러로 양국은 50년간 연 2%의 이자로 분할상환하기로 협정을 맺었고, 영국은 재정 위기를 수차례 겪으면서도 꾸준히 상환하여 지난 2006년이 되어서야 간신히 상환을 마쳤다.


소련은 영국과 대조적이었다. 전후 미국이 소련에 요구한 상환 금액은 13억 달러였으나 소련은 1억 7,000만 달러만 갚겠다고 버텼다. 미국도 별다른 채권 행사를 하지 않는 가운데 1972년, 미·소 무역협정이 채결되면서 소련은 7억 2,200만 달러를 분할 상환하기로 약속했다.


37대 미국 대통령 '리처드 닉슨'


그러나 약속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소련을 계승한 러시아는 지금도 약 6억 달러의 채무를 안고 있다. 중국(대만 포함)도 미상환 상태다.


그렇다면 이처럼 막대한 무기를 퍼주고, 그 대금을 돌려받지 못한 미국은 과연 적자일까?

장부상으로는 손해였지만 미국은 잠재 생산능력을 군수품 생산에 집중시킨 결과 전쟁을 겪으면서도 유일하게 경제가 성장할 수 있었다.



전쟁 전까지 17%였던 실업률은 종전 직전인 1944년 1.2%로 떨어졌다. 무기대여법은 완전고용과 경제성장을 이끈 보약이었던 셈이다.



이처럼 현재 미국이 슈퍼 파워로서 지구촌에 군림하는 새로운 구도가 무기대여법을 통해 공고해졌다고 할 수 있는데, 그로 인한 후유증도 나타났다.



미국 경제가 너무 커져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미국 경제의 생산력과 관계를 맺지 않고서는 경제성장은커녕 재정의 유지마저 힘들어진 세상으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